본문 바로가기

관광명소

부춘동 관광안내 관광명소
총 게시물 9 , 페이지 1 / 1
부춘동 관광명소 목록 - 번호, 관광지명, 소개, 조회수 정보 제공
번호 관광지명 소개 조회수
9 홍양일기 홍양일기외 6책은 현재 서산시 읍내동 444번지에 거주하는 윤시영선생의 손자 윤찬구가 보존하고 있는 충남도지정 문화재 자료이다.  홍양일기는 윤시영선생이 1906년대 홍주군에 선유사겸 군수로 재임한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 간의 일기로서 그 당시 홍주군(현 홍성군)정을 수행하면서 겪었던 사실들을 담고 있다. 이 일기는 일제에 저항한 의병들이 홍주성을 점거하자 동원된 일병들은 의병들의 진압을 위해 대포와 총을 사용하여 수 많은 의병들을 살생하였다. 이때 혼란한 사태를 수습 하기 위하여 윤시영선생이 군수로 부임 하였는데 그 당시 의병들과 일병들의 규모, 빈민구호활동, 행정, 회계문서 등 당시 상황을 상세하게 알려주는 홍주 의병사의 중요한 사료가치를 지닌 기록 문헌이다. 114
8 부춘산 핫이슈 충청남도 서산시의 읍내동에 있는 산이다(고도:187m).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북주산', 『청구도』, 『대동여지도』, 『1872년지방지도』에는 '북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모두 같은 산이다. 이 산에는 산성이 있다. 성은 정상부에서 중복에 걸쳐 축조된 삼태기식 석성이다. 성벽의 규모는 둘레 700m, 높이 3~4m 정도이며, 성내 전체에 너비 10~15m의 회랑도가 둘러져 있다. 부대시설로는 성문과 건물터, 웅덩이 시설이 발견되었는데, 문지는 북벽에서 2개소가 확인되었다. 북산이 지금은 부춘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부춘이라는 기록은 『서산군지』(1926)에서 '서산 8경의 하나인 부춘초적(夫春樵笛)'이라는 내용에서 살필 수 있다. 『해동지도』에는 읍치 북쪽의 산에 봉수를 뜻하는 기호와 함께 봉대(烽臺)라고만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북산에는 봉수가 있는데, 동쪽으로는 해미현 안국산(安國山)과 대응하고, 서쪽으로는 태안군 백화산(白華山)과 대응한다."고 적혀 있다. 「1:50,000 지형도」에 의하면 북산(부춘산)은 좌우에 봉우리가 있는데, 동쪽의 것은 옥녀봉(148m)이고 서쪽의 것은 봉화산(198m)이다. 그런데 실제로 봉수터는 옥녀봉에 있다. 봉수대는 둘레 52m의 석축으로 만들어져 있다. 남벽의 경우는 높이 1.6m, 상부의 폭은 1m 내외, 기저의 폭은 2m 정도이다. 봉수대의 문지시설은 동쪽과 서쪽에서 발견되는데 각각 2~3m 너비로 성벽이 단절되어 있다. 서쪽의 봉화산은 봉수대에서 비롯된 이름일 것이다. 하지만 그곳에 봉수대 터가 없으니 산 지명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1071
7 서산객사 핫이슈 객사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 건물로 고을 수령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정청과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나 외국의 사신이 머물렀던 좌우익실로 구성되어 있다. 서산객사가 처음 세워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서산 시청 내에 남아 있는 외동헌과 관아문의 기법과 같은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같이 세워진 건물로 여겨진다. 본래 서산시 관아 내에 있던 것을 일제시대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지었다. 남향하여 세워진 이 건물은 앞면 8칸, 옆면 2칸의 규모로, 잘 다듬어진 화강석 기단 위에 세워졌다. 지붕의 옆모습은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서산객사는 1910년에 임금의 위패를 충청남도에 기증하고 서산읍사무소, 서산농촌지도소, 서산문화원으로 사용하다가 1994년 전문학계의 고증을 받아 복원, 정비하였다. 1074
6 읍내동 귀부석(邑內洞 龜趺石) 핫이슈

도지정 문화재자료 제204호(지정일 1984.5.17)

瑞山 官衙門의 前面 양옆에 位置한 碑座臺로 본래 현재의 시청 앞 분수대 주변에 있던 것을 1982년경 현재의 자리로 移轉하였다.
거북머리보다는 해태머리모양에 가깝게 조각되어 있고, 하늘을 향해 눈을 부릅뜨고 입에는 보주를 물고 힘있게 치켜든 형상을 하고 있다. 등의 귀갑문은 육각형이 아닌 U자형으로 3겹 하여 조각하였다. 반대편 귀는 거북이의 머리가 움츠린 형태를 도식화된 감이 들도록 조각했고, 몸체를 비교적 납작하게 조성하고 거북등의 육각형 귀갑문이 뚜렷하다

2978
5 서산 관아문 및 동헌(瑞山 官衙門 外東軒) 핫이슈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41호(지정일 1976.1.8, 1979.7.3)

조선 고종8년(1871년)에 건립된 서산읍성 관아 건물로, 오병선군수가 부임하여 건립하였고, 1959년 김형중 군수가 중수하였다. 1978~1979년에 관아문 대보수 및 현 시청사 본관에 위치해 있던 동헌을 현재의 자리로 옮김. 관아문은 정면3칸, 측면2칸의 2층 누각으로 아래층은 삼문이 있고 초석 대신 석주를 사용하였다. 동헌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서령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3003
4 중앙호수공원 핫이슈 다채로운 볼거리와 가족휴식 공간의 부족인 서산시민의 오랜 숙제를 해결한 서산의 상징물로서 명소가 되었다. 2008년 9월11일 7 만㎡의 면적에 2년여의 공사 끝에 개장한 중앙호수공원은 음악분수와 원형광장, 산책로, 팔각정,각종 운동시설 등을 갖추었고 특히 연꽃이 핀 나무다리와 조깅코스는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고 밤이면 화려한 분수쇼를 볼 수 있어 여름밤 서산시민의 포근한 쉼터로 각광받고 있다. 가족, 연인, 친구가 함께 어울려 건전하면서도 자연과 벗삼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중앙호수공원은 부춘동뿐만 아니라 서산시의 큰 자랑거리이다. 3089
3 울음산 공원 핫이슈 일명 명륜산이라고도 한다. 울음산은 해발 30m내외의 얕은 산이지만 야산치고는 보기 드물게 기암으로 되어있어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30~40년전만 해도 아름드리 나무들이 울창하여 이곳에서 나무를 베어다가 중앙천을 건너던 다리를 놓았었고 기암들이 있는 곳까지 늑대들이 나타났었다며 그곳에는 바위로 된 큰 굴이 있었는데 이 굴속에 여우들이 서식하기도 했다고 한다. 3109
2 양유정공원 핫이슈

예로부터 전해지는 서산8경중 한곳인 양유정 공원은 오래된 키 큰 나무들이 우거져 있고, 그 나무들이 만든 그늘이 공원의 전체를 덮을 만큼의 나뭇잎 지붕을 만들어 특히 여름에는 나뭇잎소리와 매미소리와 함께 더위를 사그러지게 만드는 쉼터로서 사랑받고 있다.

3209
1 성암서원(聖巖書院) 핫이슈

도지정 문화재자료 제205호(지정일 1984.5.17)

 

유숙과 김홍욱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유숙(1324~1368)은 고려 문신으로 홍건적의 난 때 공을 세워 서령군으로 봉해지고 일등공신 칭호를 받았으나, 공민왕 14년(1365) 그의 충직을 두려워 하던 신돈에게 교살 당하였다. 김홍욱(1602~1654)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황해도 관찰사 등 여러 벼슬을 거친 분이다.

숙종 45년(1719)에 세운 이 서원은 경종 1년(1721)에 나라에서 내린 "성암서원"이라는 현판을 받은 사액서원이다.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24년에 다시 세웠다. 대문 격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동재와 서재가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고 유숙과 김홍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다. 이 서원에서는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2940

담당부서 정보

  • 컨텐츠 담당 : 부춘동
  • 연락처 : 041-660-3582
  • 최종수정일 : 2023.07.2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