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명유래

음암면 음암면소개 지명유래

음암(音岩)이라는 면이름은

한자의 뜻에 따라 '소리나는 바위', '들림바위', '두룸바위'에서 유래되었다고 전래한다.
당초의 면명은 동음암면(冬音岩面)이었으나 1914년 동(冬)은 떼어지고 그냥 음암이라 불리우며 쓰여왔다.
어떤 문헌에는 동음(冬音)은 '둠'의 표기이고 둥글다는 뜻이 내재되어 있다고 그연원을 신라시대의 향가인 모죽지랑가에 연결시키고 있다.
음암면 문양1리에는 두룸배(일명 들음배)로 불리우는 마을이 있다.
지난날 이 두룸바위에는 많은 두루미들이 떼지어 날아와 평원한 모양의 바위 주변에서 노닐며 겨울 한철을 지내고 돌아갔다가 다시 찾아들고는 하였는데 청량한 울음소리가 근동까지 메아리졌으며 이후부터 두루미바위라 불리어지기 시작하였다 한다.

지명유래 - 음암면 지명유래입니다.
마을명 마을유래
문양리 문양리는 조선시대에 동음암면 소속으로 문기리, 가산리, 소동음암리, 장동리 등으로 있었다.
1895년 행정구견개편시 소동리, 장좌동, 장양동, 문기리 , 회찬리로 나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시 소동리 , 장양리, 회찬리등 3개리와 문기리일부를 합하여 문기리의 문, 장양동의 양자를 따서 음암면 문양리가 되었다.
도당리 도당리는 조선시대 구수동리, 왕시랑리, 수도동리 지역과 부산리 일부 지역이었다.
1895년(32종) 행정구역 개편시 구도동리오 왕시랑리라는 마을이름은 업어지고 화락리, 전당리, 상암리라는 이름의 마을이 새오리 생겨났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수구동리 화락리 전당리 상암리 등 4개와 부산리의 일부를 합쳐 한동리를 만들면서 옛 구도동리에서 도자를 취하고 전당리에서 당자를 따서 음암면 도당리가 되었다.
탑곡리 탑곡리는 조선시대에 안치리, 가토곡리, 고양동리로 되어 있었고 부산리 일부가 이에 포함된다.
1895년(고종 32)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안치리, 중곡리, 탑동, 송내리, 녹두동으로 바뀌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때 안치리, 중곡리, 탑동, 송내리, 녹두동과 부산리 일부를 합하여 한동리르 만들면서 탑동에서 탑자를 취하고 중곡리에서 곡자를 따서 음암면 탑곡리가 되었다.
성암리 성암리는 조선시대에는 홍주목 운천면 보산리로 22가구에 86명이 사는 작은 마을의 홍주목 월경처였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해미군운천면으로 바뀌고 동리도 모산리, 장산리, 성암리 등 세마을로 분할된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해미군이 없어지고 서산군으로 통합되면서 운천면이 없어질 때 운천면 소속의 다른 11개 동리는 모두 운산면 소속이 되고 성암리와 장산리의 일부씩을 합하여 음암면 성암리가 되었다.
성암이란 이름은 마을내에 있는 북극성 및 북두칠성이란 이름을 가진 바위들이 있기 때문에 별바위 또는 별바위 마을이라 불리어지면서 생긴이름이다.
부장리 부장리는 조선시대에 동암면 부다리와 노내동리 그리고 동음암면 부산리 홍주목 운천면 모산리의 일부 지역이었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시 부다리. 노내동리, 장산리, 성동으로 바뀌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부다리, 노내동리와 장산리, 기촌리, 동음암면 부산리, 해미군 운천면 성암리 일부를 합하여 부다리에서 부자를 취하고 장산리에 장자를 따서 음암면 부장리가 되었다.
유계리 유계리는 조선시대에 동암면 대교리로 있었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때 동암면 기촌, 유산리, 석천리, 석정리, 대교리, 명계리로 분할 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대교리, 유산리, 석정리, 명계리와 기촌 일부를 합하여 한동리를 만들면서 유산리에서 유자를 취하고 명계리에서 계자를 따서 음암면 유계리가 되었다.
신장리 신장리는 조선시대에 동분이란 이름으로 불러왔던 것 같다. 이것은 전주이씨 변성군파 후손들이 이마을에 살면서 구래배 이씨들이라 했었는데 그들이 그곳에 정장한 것은 변성군 이계연이 동분에 사는 서산송씨 전광주목자 송효명의 손서가 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서 동분으로 있었던 것 같다.
여지도서에 의하면 동암면 탄동리로 되어 있었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오이동, 장림동, 신동으로 분할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이세 동리가 합쳐져 한동리가 되면서 신동에서 신자를 취하고 장동에서 장자를 따서 음암면 신장리가 되었다.
상홍리 상홍리는 조선시대에 두치면 노리치와 홍천리로 되어 있었다.
1895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홍천리는 그대로 였으나 노치리가 상노치리, 중노치리, 하노치리로 분할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홍천리와 상노치리, 중노치리, 하노치리 등의 3개 노치리 및 동암면 검동의 일부를 합쳐 한동리를 만들면서 상노치리의 상자와 홍천리의 홍자를 따서 음암면 상홍리가 되었다.
1914년 이전의 지역면명이었던 두치면이란 상홍마을속에 있는 노치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부산리 부산리는 조선시대에는 두치면 산저리와 부흥동으로 되어 있었다.
1895년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산저리, 부흥동, 율리, 점촌등으로 분리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산저리, 부흥동, 율리와 점촌의 일부씩을 함하여 한동리로 만들면서 부흥동의 부, 산저리의 산자를 따서 음암면 부산리가 되었다.
부산리란 이름은 부자가 되어 산을 이룬다는 이름이다. 또 부산리의 연원이 된 부흥동이란 이름은 부자로 계속해서 흥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율목리 율목리는 조선시대에 배시동리 목과동리로 있었다.
1914년의 행정구경 개편시 배시동리와 목과동리를 합친 외에 율리와 점촌마을의 일부씩을 합쳐서 한동리를 만들면서 율리에서 율자를 취하고 목과동리에서 목자를 따서 음암면 율목리가 되었다.
출처 : 서산의 지명사(2008.11발간) 저자 이은우

담당부서 정보

  • 컨텐츠 담당 : 음암면
  • 연락처 : 041-660-3506
  • 최종수정일 : 2023.07.2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