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의 걸어온 연혁에 대해 소개합니다.
-
삼한(三韓)시대
마한 54국 중 하나인 치리국국(致利鞠國)의 관할에 속한 부족촌(部族村)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 시대에는 기군(基郡)의 영현(領縣)인 지육현(知六縣) 관할의 부족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
통일신라 시대
부성군(富城郡)의 직촌(直村)이었으며 고려 시대에 지방 관부 이름 개편 시 우리 고장의 현 명지 이북지역을 조립부곡(助立部曲)이라 하였다.
-
1182년(고려 명종 12)
현 서산지역이 주민의 반란으로 부성현(富城縣)이 혁파되어 관호(官號)가 없어지면서 운주(運州:현재 홍성)에 복속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 조립부곡도 함께 이속되어 대산부곡(大山部曲)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대산곶(大山串)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
1284년(고려 충렬왕 10)
서산지역이 정인경의 공로로 지서산군사로 승격되어 홍주목에서 벗어날 때 대산부곡은 그대로 남아 있었는데, 이 지역이 소금과 해산물의 생산지요, 해로의 요충지로서 경제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존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많은 부곡제들이 15세기 초기인 태종대에 대부분 소멸되고 일부만 남아있었는데, 대산부곡은 세종년간의 중반에 서산군에 이속된 것으로 보인다.
-
두고려말~
산 밑에 수군진(水軍鎭)을 두고려말부터 왜구의 침입이 잦아 이를 방지하고 삼남에서 올라오는 세곡선(稅穀船)의 안전한 호송을 위하여 독곶리 황금게 되었는데 대산만호(大山萬戶)라 하였다.
-
1426년(조선 세종 8)
대로리 지역에 목마장(牧馬場)을 조성하게 되어 황금산 아래에 있던 대산만호를 대산리1리 지역(현 대산리 112번지 일원)으로 옮겨 진수부를 설치하였다.
-
1428년(세종 10)
대산만호를 고파도리로 이진하고, 파지도만호영(波知島萬戶營)이라 개칭하였다.
-
1459년(세조 5)
파지도만호영을 대산리 옛 진영 자리로 옮겨왔으며 대산곶 목장의 감목관을 겸하였다.
-
1705년(숙종 31)
내포지방에 왜구가 출몰하여 조정에서 독곶리 항금산(亢金山) 주변에 항금진(亢金鎭)을 설진하였다.
-
1711년(숙종 37)
항금진 설진에 대한 문제점이 많아, 항금진을 평신으로 옮겨 평신진을 설진하였는데, 1712(숙종 38)년에 대산리에 있던 파지도만호진도 평신진으로 옮겨졌으며 첨사(僉使)를 배치하여 평신첨사진이라 하였다.
-
1765년(영조 41)
간행된 여지도서에 대산지방이 서산군의 방리조에 대산 면으로 표기되었는데, 대산면의 리동(理洞)은 아래와 같다. 즉, 탑동리(塔洞里),영전리(令田里),마남리(馬南里),금생동리(金生洞里), 오지리(烏池里),기은곶리(其隱串里),죽엽리(竹葉里),문곶리(門串里),평신진리 (平薪鎭里) 등 9개 리이다.
-
1794년(정조 18)
평신진은 수원부 외영 소속의 독진(獨鎭)이 되어 삼정(田政, 軍政, 還政)을 관할하는 수군첨사 관아가 되었으며, 대산곶 목장도 폐지되었다. 폐지된 목장 부지에 로상리(路上里), 로하리(路下里)의 2개 리를 두었다.
-
충청도읍지에 수록된 평신진지 연혁조에 표기된 면리는 다음과 같다.
- 일도면(一道面) : 동리(東里), 서리(西里), 대각리(大角里), 기은곶리, 독 곶리, 죽엽리, 오지리
- 이도면(二道面) : 로상리, 로하리, 매남리(梅南里), 영전리, 탑리(塔里), 문곶리
-
1895년(고종 32)
칙령 제98호에 의하여 지방관제를 23부 331개 군으로 개정됨에 따라 평신진은 폐지되었다.
-
1914년 3월 16일
충남도령 제3호에 의하여 일도면, 이도면 중 환성리와 대요리를 제외하고, 지곡면의 웅도리를 편입시켜 10개 리로 대산면이라 개칭하였다.
개편된 대산면의 신·구리명 (里名) 대조표
신소속 면명 | 리 명 | 구소속 군·면 명 | 구동리 구역 명칭 |
---|---|---|---|
대산면(大山面) | 대산리 | 서산군 이도면 | 로상리, 로하리, 각 일부 산전리 |
운산리 | 〃 | 산후리, 운전리 | |
영탑리 | 〃 | 탑동일부, 영전리 | |
화곡리 | 서산군 일도면 | 개화리, 반곡리 일부 | |
대로리 | 〃 | 반곡리, 로상리, 로하리, 기은리 각 일부 | |
독곶리 | 〃 | 독곶리 | |
대죽리 | 〃 | 죽엽리, 대각리 | |
오지리 | 〃 | 오지리 | |
기은리 | 〃 | 기은리 일부 | |
웅도리 | 서산군 지곡면 | 웅도리 |
연도별 행정리 개편현황
구 분 | 1946 | 1966 | 1970 | 1974 | 1980 | 1987 | 1995 | 2002 | 2018 | 2019 | 2021 |
---|---|---|---|---|---|---|---|---|---|---|---|
대산리 | 5 | 2 | 2 | 5 | 5 | 6 | 6 | 6 | 7 | 8 | 9 |
대로리 | 2 | 2 | 2 | 2 | 3 | 3 | 3 | 3 | 3 | 3 | |
웅도리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
오지리 | 2 | 1 | 1 | 2 | 2 | 2 | 2 | 2 | 2 | 2 | |
기은리 | 2 | 1 | 2 | 2 | 2 | 2 | 2 | 2 | 2 | 2 | |
독곶리 | 2 | 1 | 1 | 2 | 2 | 2 | 2 | 2 | 2 | 2 | |
대죽리 | 2 | 1 | 2 | 2 | 3 | 3 | 3 | 2 | 2 | 2 | |
화곡리 | 3 | 1 | 2 | 3 | 3 | 3 | 3 | 3 | 3 | 3 | |
운산리 | 4 | 2 | 2 | 5 | 5 | 5 | 5 | 5 | 5 | 5 | |
영탑리 | 2 | 1 | 2 | 2 | 2 | 2 | 3 | 3 | 3 | 3 | |
비 고 | 기존 10개리 →25개리로 분리 |
8개리 합병 |
기은,대죽, 화곡, 영탑리분리 |
대산,오지, 독곶화곡, 운산1리 →2리 분리 |
대로2리 →3리 분리, 대죽2리 →3리 분리 |
대산1리 → 6리 분리 |
영탑2리 →3리 분리 |
대죽3리 대죽2리에 합병 |
대산2리 →7리 분리 |
대산3리 →8리 분리 |
대산1리 →9리 분리 |
계 | 25 | 13 | 17 | 26 | 28 | 29 | 30 | 29 | 30 | 31 | 32 |